EZ스퀘어/해외선물

이지스퀘어 해외선물 로스컷 관리 중요성

EZ스퀘어 김신 2023. 10. 10. 14:50

해외선물 거래를 할 때 로스컷 관리만 잘해도 중간은 간다 라는 말 들어본 적 있을 겁니다.

많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투자 상품(주식, 코인, 부동산) 같은 경우 인생의 동반자라 하여

아무리 큰 손실이 생겨도 자신이 손절하지 않는다면 평생 보유하고 가지고 갈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선물 같은 경우 로스컷 이라는 시스템이 있어

본인이 손실이 생겼을 때 버티고 싶어도 강제로 청산이 되어 버틸 수 없이 강제 손절이 되는 시스템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로스컷(강제 청산) 관리를 잘해야 되며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보유 증거금이 적다면 버티기 식의 투자가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항상 투자에 유의를 해주셔야 합니다.

로스컷이란 ?!

로스컷(loss cut)은 손절매를 의미한다, 스톱로스(stop loss)라고도 합니다.

가지고 있는 주식의 현재 시세가 매입 가격보다 낮은 상태이고 앞으로 가격 상승의 희망이 보이지 않을 경우

손해를 감수하고 주식을 내다 파는 것을 말합니다, 더 큰 손해를 막기 위해 일정액의 손해를 감수하고 매도하는 것입니다.

강제로 손절매를 하는 것을 강제 손절매라 합니다.

안정적으로 자산을 운용해야 하는 기관투자가들이 종목별로 20~30%까지 손실이 났을 경우,

해당 종목을 반드시 정리하도록 하는 규정을 말합니다.

기관들은 주가 급락에 따른 자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망' 역할을 하는 이런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로스컷은 보유한 증거금 비율에 따라서 달라지며

보유한 증거금이 0원이 되지 않도록 그 전에 강제 청산이 되어 증거금을 보호해 주는 시스템 입니다.

해외선물 거래란!?

해외선물옵션 거래란 지수의 가치를 예측하는 거래의 방식으로

지수의 가치가 상승할 거라 생각하면 매수에 투자 지수의 가치가 하락할 거라 생각하면 매도에 투자하는 상품

지수의 상승과 하락을 예측해 매매시점에서 부터 수익과 손실이 발생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해외선물옵션 거래는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선매매, 후 물건 인수 선물 방식)

현물거래 같은 경우 대금 결제는 물건인 수 와 동시에 같이 이루어짐

선물거래 같은 경우 매매가 이루어진 후 일정 시점이 지나서 모든 거래가 끝나는 만기일에 대금 결제와

물건의 인수도가 이루어집니다.

(만기일에 인도, 인수할 것을 계약 하에 증거금을 가지고 하는 거래)

물건의 대금을 바로 지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담보금을 가지고 거래를 하는 것 이며,

가지고 있는 담보금 안에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담보금이 부족하면 로스컷이 발동되게 됩니다.

기본 거래 용어

매수 (Sell), 매도 (Buy), 포지션, 청산

해외선물에서의 매수 매도는 주식에서 사고팔다의 개념과는 다르게 표현됩니다.

해외선물은 양방향성 투자 상품으로 상승에 투자를 할 수도 있고 하락에 투자를 할 수도 있습니다.

매수 (Sell) - 투자할 상품의 가치가 상승할 거라 생각해 상승에 투자하는 행위

매도 (Buy) - 투자할 상품의 가치가 하락할 거라 생각해 하락에 투자하는 행위

포지션 - 특정 상품의 투자를 한 진행 방향을 가리키는 명칭

청산 - 보유한 포지션을 정리하며 손익을 발행하는 행위

( 틱 ) 해외선물 호가단위

다음 해외선물 용어는 틱 이라는 것인데요 틱은 해외선물 종목의 호가단위를 뜻합니다.

1틱이 한 개의 호가 단위이고 가격의 한 단위라고 보시면 되는데, 1틱이 hts 호가 창의 한 칸입니다.

예를 들면 특정 시점에 매수를 했는데 체결한 가격으로부터 hts 호가 창이 10칸 상승했으면 10틱의 수익이 났다고 표현합니다.

ex) 나스닥 / 지수 1Point = 4 틱

ex) 항셍 / 지수 1Point = 1틱

특정 상품에 따라 틱 가치는 달라집니다.

해외선물 투자는 시장을 마감하고 새로 시작을 하는 만기일이 존재합니다

만기일이 도래되어 다음 월물로 변경되는데 미국 주식 시장 해외선물 만기일은 3월 6월 9월 12월 세 번째 금요일이다

(한국 선물은 3,6,9,12월 2번째 목요일)

나스닥은 3개월에 한번, 골드나 오일은 1달에 1번 매달 25일, 항셍은 매달

마지막 영업일에 모든 거래가 중지되는 날을 뜻합니다

나스닥 100 선물 지수를 기준으로 앞으로 지수가 계속하여 상승할 것이라 예상하고

매수 포지션 계약을 체결하여 홀드하고 있는 경우 해당 선물의 최종 거래일의 끝이 정해져 있다는 것 입니다

증거금

투자금과 증거금은 차이가 있습니다

해외선물은 증거금이 있어야 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선물 옵션거래는 선매매 후 물건 인수 방식으로 증거금이 있어야지만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증거금은 선물 거래를 하기 위한 보증금으로 선 매매를 하고 추후 모든 거래가 마감되었을 시

한 번에 납부하는 방식으로 증거금(담보금)이 있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증거금은 2가지가 있는데요 위탁 증거금 / 유지 증거금입니다

위탁 증거금 - 선물거래의 첫 주문 시 내는 증거금으로 계약이 열릴 때 납부되는 증거금입니다

유지 증거금 - 주문된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을 때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증거금 (약정한 금액의 10% 이상이 있어야 유지 가능)

해외선물 매매하시는데에있어 가장 기본적인 지식인지만

확실히 알고 넘어가시면 좋으실거같아서

포스팅 합니다.

각자도생하는 이 시기에 성공투자 기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